어쩌면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은
아직 10대일 수도 있고,
혼자서 아기를 품고
내일을 어떻게 버텨야 할지 막막한 시간을
살아가고 있을지도 몰라요.
아니면 당신의 친구, 동생, 누군가 소중한 사람이
그런 자리에 있을 수도 있고요.
그래서 이 글을 꼭 쓰고 싶었어요.
미성년 미혼한부모와 임산부를 위한 따뜻한 지원사업 - 우리원더패밀리
누군가에게는, 진심으로 큰 힘이 될 수 있을 거예요.
🌱 누구를 위한 제도일까?
미성년 미혼한부모 지원사업(우리원더패밀리)는
여성가족부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생명위원회가 함께하는
청소년 부모를 위한 맞춤형 지원사업이에요.
간단히 말하면,
만 22세 이하의 미혼한부모 또는 임산부에게
경제적·정서적 지원을 해주는 제도죠.
근데 여기서 핵심은 ‘미성년자 우선’이라는 거예요.
✔️ 1순위 지원 대상
- 만 19세 이하의 미혼한부모 또는 임산부
- 소득 기준 없이 바로 신청 가능해요.
→ " 지금 너무 어려도, 무조건 우선 지원받을 수 있어요."
✔️ 2순위 지원 대상
- 만 20세 이상~22세 이하의 미혼한부모
- 다만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에만 신청 가능해요.
🎯 중요한 건,
결혼한 적 없어야 하고,
자녀를 출산했거나, 임신 중이라면 모두 해당된다는 거예요.
💸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처음 이걸 봤을 때
"진짜 이런 걸 해준다고?" 싶었어요.
그만큼 실질적인 도움이라 소개해드리고 싶어요.
💰 자립지원금 월 50만 원
→ 직접 통장으로 매달 지급돼요.
→ 생계비, 병원비, 아이 용품, 식비… 어디든 쓸 수 있어요.
🎁 출산 축하선물 30만 원 상당 (해당자)
→ 분유, 기저귀, 아기옷 등 실질적으로 꼭 필요한 물품 구성
🧡 심리상담과 정서적 돌봄 서비스 연계
→ 또래 부모와의 모임, 상담, 교육 등이 포함돼요.
→ "나만 이상한 게 아니구나" 하고 서서히 마음이 열릴 수 있도록 도와준대요.
📋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신청 시기
-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신청 가능해요.
- 신청하면 → 다음 달 15일에 지원금 지급
⚠️ 단,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서두르세요!
📩 신청 방법
- [천주교 생명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 필수 서류와 함께 이메일 접수
👉 vitavia1004@naver.com
📞 문의 전화
-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02-2100-6349)
- 천주교 생명위원회 (02-727-2366)
-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30~12:00 / 오후 13:00~17:30
🧾 제출해야 하는 서류
필수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아요:
- 수혜자 신청서
- 개인정보제공 동의서
- 가족관계증명서(상세)
- 혼인관계증명서(상세)
- 통장사본
추가로,
🍼 임신 중이라면 → 병원에서 발급받은 임신확인서
📉 20세 이상이라면 → 기초생활수급증명서
💭 이런 분들에게 꼭 알려주세요
혹시 이런 사람을 알고 있다면
이 정보를 꼭 전달해 주세요:
- 학교를 다니다 갑작스럽게 임신 사실을 알게 된 10대 학생
- 부모님이나 친구 누구에게도 말 못 하고 있는 청소년 임산부
- 이미 아이를 낳았지만 지원을 어디서 받아야 할지 모르는 10대 엄마
그 누군가에게
이 제도는 단지 돈을 주는 걸 넘어서
"괜찮아, 너 잘하고 있어."라는 말이 되어줄 수도 있어요.
🌷
끝으로 꼭 말해주고 싶어요.
혹시 당신이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다면,
그 자체로 너무 용감하고 멋진 사람이에요.
아이를 안고 울고 있을 당신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는 용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요.
'📚 싱글맘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집에서 일하며 아이 키우는 삶, 혼자라서 더 강해진 이야기 (재택근무·온라인교육·한부모 커뮤니티) (0) | 2025.05.17 |
---|---|
💌 직접 신청 vs 위탁기관 신청, 나에게 맞는 복지신청 방법은? (2) | 2025.05.15 |
전세사기 걱정 없는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무주택자 누구나 8년 안심 거주 가능! 🏡 (0) | 2025.05.09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자동신청으로 더 쉬워졌어요! 신청기간, 조건, 꿀팁 총정리 💸 (3) | 2025.05.08 |
2030 싱글맘의 현실과 연결|일·육아·편견 속에서도 우리는 살아간다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