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요즘 같은 세상에 혼자 벌고, 살림하고, 아이 키우는 거 정말 쉽지 않잖아요. 그러다 보면 세금이니 지원금이니… 챙겨야 할 것도 많고요. 그런데요, 이런 저희를 위해 국가가 도와주는 제도가 하나 있어요. 바로 근로·자녀장려금이에요!
이건 말 그대로, 일은 열심히 하는데 수입이 많지 않은 가정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려고 만들어진 정책이에요.
2025년에도 이 장려금 신청이 시작됐고, 올해는 특히 더 편하고 쉬워졌더라고요. 저도 처음엔 “이런 거 나랑은 상관없겠지…” 했는데, 살펴보니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해당될 수 있는 조건이더라고요.
🗓 신청 기간부터 확인해요!
올해 정기 신청 기간은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예요.
신청 안 하면 못 받으니까, 주변에 해당될 수 있는 분들이 있다면 이 기간 안에 꼭 알려주세요.
저처럼 조건이 안 맞더라도, 누군가에겐 꼭 필요한 정보일 수 있으니까요.
📌 근로·자녀장려금이 뭐예요?
- 근로장려금: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분들을 위한 지원금
- 자녀장려금: 부양할 자녀가 있는 가정에게 주는 장려금
작년까진 신청도 어렵고, 서류도 복잡했는데요…
2025년부터는 진짜 ‘신세계’가 열렸어요!
바로 ‘자동신청’ 덕분이죠.
📲 자동신청? 진짜 되는 거예요?
네! 원래는 만 60세 이상만 자동신청 대상이었는데요,
올해부터는 전 연령층으로 확대됐어요.
“자동신청 동의”만 해두면, 복잡한 신청 없이도 장려금이 신청된다고 해요.
심지어 안내문도 이제 종이 우편이 아니라
카톡, 국민비서, 네이버, 문자 등 모바일로 받아볼 수 있어요!
이젠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가락 몇 번 누르는 걸로 끝나요 😍
🤖 AI 상담이 도와준다니… 감동
이번에 깜짝 놀란 부분이 바로 이건 데요.
세무서에 전화할 때 AI 상담이 도와줘요.
이제 상담사 연결 기다릴 필요도 없이,
‘보이는 ARS’로 내가 뭘 해야 하는지 척척 알려줘요.
그리고 혹시 전화를 못 받았다면?
‘콜백 서비스’로 상담사가 다시 전화도 해줘요.
이거 진짜... 아이 재우고 조용한 시간에 다시 전화받아도 되니까 정말 좋을 것 같아요.
✅ 나는 받을 수 있을까? 신청 조건 총정리
1. 가구 유형
- 단독가구: 연 소득 2,200만 원 미만 →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연 소득 3,200만 원 미만 → 최대 260만 원
- 맞벌이 가구: 연 소득 4,400만 원 미만 → 최대 330만 원
2. 자녀장려금
자녀 1인당 최대 100만 원
- 홑벌이/맞벌이 가구, 연 소득 7,000만 원 미만
3. 재산 요건
- 2024년 6월 1일 기준, 총 재산이 2억 4천만 원 미만
👉 여기서 말하는 재산은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이 아니라 총 재산 기준이에요.
차, 집, 예금, 보험… 다 포함돼요!
💡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 방법은 아래처럼 다양해요:
- 📞 ARS 1544-9944
- 💻 홈택스 (PC/모바일)
- 📱 모바일 안내문 링크 클릭
- ☎ 장려금 상담센터 1566-3636
신청 링크가 있는 문자를 받으면, 그냥 클릭해서 로그인만 해도 바로 신청돼요.
진짜 간단해서, “어? 벌써 끝났어?” 할지도 몰라요 ^^
🍀 놓치지 마세요, 소중한 지원금
엄마가 된 이후로 알게 된 게 있어요.
작은 지원 하나가 정말 살림에 큰 숨통이 된다는 것.
장려금은 단지 돈 몇십만 원이 아니라,
“당신은 혼자가 아니에요. 잘하고 있어요.”라는 국가의 따뜻한 응원 같아요.
부끄럽지 않아요. 받을 수 있다면 꼭 신청하세요.
혹시 주위에 모르고 있는 분이 있다면, 슬쩍 알려주세요.
우리 같이 조금이라도 더 든든해져요 💪
🙋♀️ 마지막으로, 이런 분들 꼭 신청해 보세요!
- 아르바이트나 계약직 등으로 수입이 일정치 않은 분
- 아이가 있지만 소득이 낮은 맞벌이 가정
- 부모님과 함께 사는 1인 가구
- 최근 이직하거나 수입이 줄어든 직장인
- 혼자 아이 키우며 열심히 일하는 한부모 가정 (싱글맘·싱글대디)도 신청 가능해요!
'📚 싱글맘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성년 미혼한부모, 당신을 위한 꼭 필요한 지원 (0) | 2025.05.10 |
---|---|
전세사기 걱정 없는 전세임대형 든든주택, 무주택자 누구나 8년 안심 거주 가능! 🏡 (0) | 2025.05.09 |
2030 싱글맘의 현실과 연결|일·육아·편견 속에서도 우리는 살아간다 (0) | 2025.05.07 |
🧡 혼자이지만 함께 걷는 길: 싱글맘 경제 독립 이야기 (0) | 2025.05.01 |
🧡 혼자 육아할 때 꼭 필요한 ‘내 편’ 만들기 (싱글맘 모임, 커뮤니티 소개, 외롭지 않게 사는 법) (2)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