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라는 이름 아래, 엄마도 아빠도 오늘을 살아갑니다” – 싱글맘의 시선으로 본 육아와 사회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 싱글맘 정보창고

“한부모라는 이름 아래, 엄마도 아빠도 오늘을 살아갑니다” – 싱글맘의 시선으로 본 육아와 사회 이야기

by 하루결맘 2025. 4. 24.
반응형

 

아이 손을 잡고 어린이집 앞에서 웃어주는 아빠를 본 적 있나요?
가끔은 그런 장면이 낯설게 느껴졌던 저도, 이제는 그 모습을 응원하게 됐어요.
왜냐하면, 저 역시 아이를 혼자 키우는 엄마이기 때문이죠.

요즘 들어 ‘한부모’라는 단어는 점점 익숙해지고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수많은 현실은 여전히 낯설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부모 가정은 단순한 가족 형태를 넘어, 사회적 구조와 편견, 정책적 사각지대 속에서
늘 누군가의 시선과 시스템 사이를 조심조심 건너가야 하는 존재이기도 하죠.


🧸 엄마라는 이름으로, 오늘도 균형을 맞춰갑니다

혼자 아이를 키운다는 건, 예상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일이었어요.
‘부모’라는 역할 하나에도, 감정 조절부터 체력, 생계 책임까지 겹겹이 쌓여 있으니까요.

아이의 열이 나는 밤엔 주저하지 않고 응급실로 향하지만,
그 동시에 머릿속은 내일 회사에 무슨 말을 해야 할지로 복잡해지죠.
출근길에 두 손 가득 장난감을 들고도, 마음속은 늘 계산기처럼 예산을 따집니다.
‘내가 오늘 이만큼 벌면, 내일은 아이에게 뭘 해줄 수 있을까?’


👨‍👧 싱글대디를 향한 시선, 그리고 그 안의 이중잣대

저는 자주 싱글대디 친구와 육아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리고 종종 느끼는 점이 있어요.
같은 현실을 살아가는데도, 바라보는 시선은 너무 다르다는 거예요.

사회는 종종 남성에게 ‘육아’를 맡겼다는 이유만으로 박수를 보냅니다.
반면 여성에게는 그게 ‘당연한 일’로 여겨지죠.

📌 “아빠 혼자 키우다니 대단하네요!”
📌 “엄마 혼자예요? 무슨 사정이 있었던 거예요…”

남성 양육자가 받는 과도한 칭찬,
여성 양육자에게 주어지는 무언의 ‘비판’은
결국 둘 다 편견 속 역할 고정에 기반한 시선일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많은 싱글대디는 육아 인프라에서 소외되기 쉽습니다.
돌봄 시설이나 커뮤니티 대부분이 ‘엄마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이와의 유대 형성을 원하는 아빠에게도 심리적 장벽이 생기는 거죠.

 


🏠 한부모 지원 제도, 아직 갈 길은 멀지만 희망은 있어요

한부모 가정을 위한 복지 제도는 실제로 꽤 다양합니다.
‘한부모가족 복지법’을 통해 양육비 지원, 주거 보조, 의료비, 교육비 등 제도가 마련되어 있죠.
문제는, 그 혜택이 실제 필요한 이들에게 잘 닿지 않는다는 데 있어요.

✔️ 복잡한 신청 절차
✔️ 낮은 수혜 기준과 금액
✔️ “한부모”라는 단어에 느끼는 심리적 저항

저도 그랬지만, 주변 많은 엄마들이 정보는 들어도
정작 “괜히 사람들 눈치 보여서 포기했어요”라고 말하더라고요.

최근 서울시에서는 성별별 맞춤 상담센터나 교육을 마련하면서
‘엄마 중심’ 시스템을 넘어 ‘가정 중심’으로 나아가려는 변화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들이 전국으로 퍼져, 실제 삶에 다가갈 수 있는 제도로 정착되길 바랍니다.

이미지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s://korea.kr) – 2025년 한부모가족 지원 변화 핵심 요약


💬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부모’라는 단어 아래,
누구는 엄마로, 누구는 아빠로 살아갑니다.
같은 고민, 다른 역할. 하지만 같은 방향을 보고 있다는 건 변함없어요.

아이를 위한 선택, 가족을 위한 결정,
그 모든 것에 대해 이해와 존중이 자연스러운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오늘도 수많은 부모들이
한 아이를 지켜내기 위해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나도, 당신도, 그리고 우리가.
각자의 방식으로 ‘가족’을 지켜내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멋진 사람입니다.

 

이 글이 누군가의 하루에 작은 위로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 세상 모든 싱글맘과 싱글대디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저 역시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엄마로서,
당신의 모든 날을 함께 응원합니다.

혼자가 아니에요. 우리, 잘 해내고 있어요.

반응형